[씨저널] 기아가 미래 모빌리티 시대를 앞두고 기술·정책·규제·디지털 거버넌스의 변화를 읽어줄 인물로 조화순 연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를 초대 선임사외이사로 선택했다.
자율주행차·커넥티드카·SDV(소프트웨어 정의 자동차) 등 신사업 확대에 따라 단순한 기술 검토를 넘어 데이터와 정책, 사회적 수용성까지 포괄하는 의사결정이 필요해졌기 때문이다.
기아가 최근 모빌리티 기술 개발에 속도를 높이는 과정에서 데이터 주권과 개인정보, 사이버보안, 알고리즘 책임, 인공지능(AI) 규제 등 새로운 리스크가 등장하고 있다.
각국의 디지털 규제 강화와 차량 데이터 국경 규제, 해킹·보안 문제도 기업 경영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조 선임사외이사는 이런 변화 속에서 발생할 사회·정책적 리스크를 이사회 차원에서 선제적으로 점검하는 역할을 맡게 됐다.
◆ 기아가 필요한건 ‘정책·거버넌스 레이더’ 역할, 조화순 기술과 사회변화 동시에 보는 눈 가졌다
조화순 선임사외이사는 기술, 데이터, 정책, 사회적 수용성을 함께 읽어낼 수 있는 ‘디지털 거버넌스 전문가’로 평가받는다.
연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이자 노스웨스턴대 정치학 박사 출신으로 동아시아 국제정치·거버넌스 연구에서도 폭넓은 전문성을 갖췄다.
한국정치학회·한국국제정치학회·정보사회학회 등에서 활동하며 디지털 시대의 거버넌스 변화를 꾸준히 연구해왔다.
전공·연구 분야 역시 정보사회 정치경제, e-정부, 인터넷·사이버 거버넌스, 빅데이터, 국제정치경제 등으로 기아가 직면한 환경과 직접 맞닿아 있다.
저서 '디지털 거버넌스-국가·시장·사회의 미래'에서는 “시장과 사회를 운영하는 매커니즘이 기술발전과 함께 변하고 있다”며 “디지털 기술을 어떻게 활용해 어떤 통치 질서를 만들어낼 것인지가 미래 사회를 좌우한다”고 강조했다.
신기술이 산업구조뿐 아니라 사회·정책 구조까지 변화시키는 시대적 흐름에 대한 관심도 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조 선임사외이사는 행정안전부·기획재정부 등 정부의 자문위원 활동과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아시아센터·UN 아시아태평양 경제사회위원회(ESCAP) 등 국제기구 경험을 통해 정책·규제 지형에 대한 이해도 갖췄다.
2019년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의 정회원이 된 뒤 인터뷰에서 “디지털 기술의 활용에 대한 논의의 초점은 국가 권력을 어떻게 견제하고 시민 사회의 권력을 어떻게 강화할 것인가에 놓여야 한다”며 “이러한 맥락에서 기술의 가능성과 인간 삶의 미래에 대한 자각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정책의 방향성과 사회적 반발 지점을 함께 읽을 수 있는 드문 인물”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조 선임사외이사는 차량 데이터 활용, 개인정보 보호, 플랫폼 전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회적 논란과 규제 리스크를 사전에 점검할 수 있는 전문성을 갖고 있다.
이러한 분석은 기아가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기술 규제, 표준 경쟁 속에서 어떤 사회적·정책적 판단을 내려야 하는지 결정할 때 중요한 기준을 제시해 줄 수 있다는 뜻이다.
또한 인터넷 거버넌스와 개인정보, 온라인 여론, 빅데이터 정치 등에서 쌓아온 연구는 기아가 추진하는 데이터 기반 서비스 전환과도 직결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그는 과기정통부에 제출한 한국정치학회 보고서에서 “미·중 경쟁의 한가운데에는 핵심 신기술이 있다”며 “기술 표준과 규범 경쟁이 디지털 통상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했다.
◆ 조화순 선임사외이사 상징성, 기아 미래 전략 ‘기술’을 넘어 ‘지속가능·정책감수성’ 바라보고 있다
기아의 중장기 전략은 이동수단을 넘어 서비스·공간·데이터를 결합한 글로벌 모빌리티 기업으로의 전환이다.
이 과정에서 환경·사회·지배구조(ESG)와 이해관계자 거버넌스, 사회적 신뢰 확보는 필수 요소로 떠오르고 있다.
조화순 선임사외이사는 기아 이사회 내에서 기술 투자, ESG, AI·전동화 전략 등 주요 의사결정의 정책·사회적 영향을 분석하는 균형자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성·학계 출신이라는 점은 이사회 다양성을 높이고, 글로벌 스탠더드에 부합하는 참여형 거버넌스 구조 강화에도 기여한다.
기아는 지난해까지 한국ESG기준원의 평가지표에서 지배구조(G) 부문에 낮은 점수를 받으며 B+ 등급을 받았다.
이사회 의장과 대표이사 분리, 집중투표제 채택 등에서 아쉽다는 평가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책·거버넌스 감각을 갖춘 전문가 영입은 기아가 지속가능성과 사회적 정당성을 기업 성장전략의 핵심축으로 삼았다는 신호로 읽힌다.
송호성 기아 사장은 올해 4월 열린 ‘CEO인베스터데이’에서 “기아는 단순 이동수단을 넘어 공간을 혁신하고 시간을 가치 있게 만드는 브랜드가 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해왔다”며 “앞으로도 내실을 강화하고 자동차 시장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중장기 전략을 실행하겠다”고 말했다. 안수진 기자